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들

hs code 검색 및 관세확인법 꼼꼼히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hs code 검색과 관세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사진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무역관련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매일같이 확인해야하는 부분이 바로 관세 및 이 hs code입니다.

<모든 사진은 클릭시 원본크기로 볼 수 있습니다>


hs code 검색에 앞서서 이 코드란 무엇을 뜻하는 걸까요? 간단하게 말하면 모든 무역 거래 상품에 고유번호를 부여해서 구별하기 편하게 도와주는 국제적인 상품분류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자가 바로 HC code입니다. 무역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이 코드에 민감한 이유는 코드번호에 따라서 관세율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수출국의 입장에서는 이왕이면 관세가 적은 코드를 해당 상품에 부여받는 것이 더 큰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겠죠. 관세 및 hs 코드를 조회하는 사이트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됩니다. 

#세계 HS 정보시스템[링크]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세계지도에 국가별로 나라가 뜹니다.  어떤 류에 속하는 상품인지 잘 모르겠다면. 해당 국가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큰 부와 류로 분류가 됩니다. 상품명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hs code 검색을 더 빠르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하단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식물성생산품 중 제10류, 곡물을 한번 선택해보겠습니다.


-곡물류에 해당하는 물품들의 hs code를 검색해보았습니다. 보통 코드는 0000,00,0000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품명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 첫 화면에서 [통합검색]을 클릭해 관세물품명을 눌려줍니다.

-해당하는 제품명을 검색합니다.


보리라고 입력을 해보았더니 hs code 조회가 아래 빨간박스처럼 나옵니다. 관세율 및 hs code를 검색하는 방법은 직접 해보시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포스팅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