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에서도 이제 점점 전세가 없어지고 있는 추세인데요. 전세나 월세 지친 세입자들이 차라리 대출을 해서라도 내집마련을 하려는 생각을 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저역시도 조금 더 안정된 직장을 가지게 되면 담보대출을 통해서 4천만원 정도와 제가 모은 목돈을 이용해서 저렴한 빌라라도 매매해서 살고 싶은 마음이 큰데요. 오늘은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및 한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한도는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신데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고 아파트의 시세를 조회한 후 대출가능 한도를 조회하실 수가 있습니다.
이후 상담사와의 통화를 거쳐서 구비서류를 준비하면 대출이 진행됩니다. 조금 더 정확한 금리 및 상품내용은 지점을 내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5년동안 2.95%로 제공이 되며, 정확한 금리는 아파트시세 및 가입시점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출한도에 따라서 인지세가 발생하는데요. 은행과 절반을 부담하게 되며, 1억원 이상 10억원 이하일때는 15만원이 발생하며, 고객부담은 7만5천원입니다.
다음은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을 살펴보았으니,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디딤돌 대출은 신한은행뿐 아니라 시중 1금융권에선 대부분 취급을 하고 있는데요. 생애첫주택 구매자에겐 더 큰 금리우대이율이 적용이 됩니다. 저렴한 금리로 집을 구매할 수 있게 정부지원을 받고 있는 상품인데요.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중 디딤돌대출의 금리는 연 2.3%~연3.1%로, 부부합산 소득수준에 따라 금리가 조금씩 변동이 있습니다.
15년 만기를 기준으로 2천만원 이하일시 2.4%의 금리를 적용받으며, 2천만원 초과, 4천만원 이하일 경우는 2.6%의 금리를 적용받습니다.
오늘은 신한은행 주택담보대출 및 디딤돌대출에 관해서 알아봤는데요. 가장 큰 재테크는 내집 마련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월세보다는 무조건 대출을 해서라도 전세를 가는 것이 낫고.. 이 전세금을 갚고나면 집을 구매하는 것이 무조건 경제적으로 돈을 모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포스팅 참고하셔서 꼭 좋은 보금자리를 마련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어떤 업체로부터도 금전적인 이익을 받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금융상식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연체자 대출가능한곳, 신용불량자 소액대출 광고X (0) | 2016.03.25 |
|---|---|
| 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 알아보자 (0) | 2016.03.23 |
| 소득세 계산법 및 계산기 2분이면 OK (0) | 2016.03.21 |
| 공무원연금 수령액 및 계산법 알아보자 (0) | 2016.03.14 |
| 국민연금 수령나이 및 조기수령 방법은? (0) | 2016.03.10 |